본문 바로가기
영어/문법

to 부정사 완벽 정리 // to부정사 자리, to부정사 역할, to부정사를 필요로

by 하얀현이 2022. 7. 7.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영어에서 빠질 수 없는 문법 to 부정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영어 문법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관계대명사, 시제 그리고 to 부정사라고 생각합니다.

이번 시간을 통해 to 부정사에 대해 완벽하게 정리하겠습니다!

 

-to 부정사란??

 

동사 앞에 to가 붙어 문장 속에서 여러 역할을 (명사, 형용사, 부사) 하는 것.

 

->우리말에서 '먹다'라는 동사가 있습니다.'먹다'라는 단어가 '는 것', '을', '기 위해서' 등으로 바뀌어 문장에서 여러 역할을 하는데요.. 이렇게 단어의 본질은 그대로지만, 형태가 바뀌어 여러 역할을 하는 것이 영어에서는'to 부정사'입니다.

to 부정사는 동사의 기능은 하지 않지만, 동사의 성질을 가지고 있어 동명사, 분사와 함께 준동사라고 부른답니다.

 

-to 부정사의 형태는??

to+동사원형

 

 

-to 부정사가 오는 자리

동사 앞에 to가 붙는 to 부정사는 문장의 다양한 자리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크게 4가지로 주어, 목적어, 보어, 수식어에 위치할 수 있습니다.

 

1. 주어

To become a doctor is difficult.

의사가 되는 것 어렵다.

2. 목적어

I want to become a doctor.

나는 의사가 되기를 원한다,

3. 보어

My goal is to become a doctor.

나의 목표는 의사가 되는 것이다.

4. 수식어

I have studied to become a doctor.

나는 의사가 되기 위해서 공부해 왔다.

 

 

-to 부정사의 역할

 

to 부정사는 크게 3가지로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을 합니다.

 

1. 명사 역할

to 부정사는 명사처럼 문장에서 주어, 목적어, 보어 역할을 하며 해석상으로는 '~하기, ~하는 것'입니다.

 

주어
To drink some water is important.
물을 마시는 것은 중요하다.

목적어
I want to go home.
나는 집에 가기를 원한다.

보어
Her goal is to be a reporter.
그녀의 목표는 리포터가 되는 것이다.

 

2. 형용사 역할

to 부정사는 '~해야 할, ~할'입니다.

 

I have a book to read.
나는 읽을 이 있다.

->to read가 앞에 있는 명사 a book을 꾸며주고 있다.

 

3. 부사 역할

to 부정사는 부사처럼 문장의 앞이나 동사 뒤에서 문장이나 동사를 수식해주며, 해석상으로는 '~하기 위해서 '입니다.

 

To buy refrigerator, I have to make money.
냉장고를 사기 위해서 돈을 벌어야 한다.

->to buy뒤에 나오는 문장을 수식하고 있다.

 

 

 

-to 부정사를 필요로 하는 동사들

to 부정사목적어로 취하는 특정 동사들이 있습니다.

 

agree learn
hope choose
refuse decide
want fail
offer wish
plan promise
I decided to study English.
나는 영어 공부하기를 결심했다.

She wants to go to Japan
그녀는 일본 가기를 원한다.

They hope to be well.
그들은 잘 지내기를 희망한다.

 

 

to 부정사를 목적격 보어로 취하는 특정 동사들이 있습니다.

 

ask     persuade
invite want
remind warn
permit/allow encourage
The manager encouraged us to think creatively.
그 부장은 우리가 창의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장려했다.

The guard permitted me to enter the building.
그 경비원은 내가  건물로 들어가는 것을 허락해주었다.

 

이렇게 to 부정사에 대해 배워보았는데

어떠셨나요??

그렇게 어렵지 않은 문법이라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